닫기

열린총장실

[브릿지 칼럼] 홍콩 경제 어디로 가나

  • 작성자:홍보실
  • 등록일2019-10-11
  • 조회수 : 815

홍콩 사태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시민들의 반발에 지난 9월 4일에 캐리 람 행정장관은 송환법을 철회했지만, 정부와 시위대의 힘겨루기는 계속되고 있다. 시위대는 행정장관 직선, 경찰 강경진압에 대한 독립 조사기구 설치 등 5개 항을 요구하고 있다. 시위대의 행동을 주권 도전 행위로 보는 정부 입장에서 수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요구다.


일국양제(一國兩制)를 둘러싼 논쟁이 사태의 핵심이다. 1997년 영국이 주권을 중국에 넘겨주면서 2047년까지 자유민주주의 원칙과 시장 경제를 존중하겠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주권을 넘겨 받은 중국 정부는 단계적 통합 작업을 계속해 왔다. 홍콩 경제와 본토 경제의 통합, 중국 특색 사회주의 원칙의 적용, 본토인의 대거 이주 등이 추진되었다. 1997년 이후 120만명이 본토에서 홍콩으로 이주했다. 본토에 대한 교역 비중이 1980년 13%에서 2017년 50%로 늘어났다.  

역외자본 유치에서 차지하는 본토의 비중도 2017년 26%를 넘어섰다. 중국 정부는 광저우 선전 주하이 포산 등 광둥성 9개 도시와 홍콩, 마카오를 포함한 메가 경제권인 ‘웨강아오다완취’를 추진할 방침이다. 5만6000 제곱킬로 면적에 7000만 인구 지역총생산 1조 5000억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다. 뉴욕, 실리콘벨리, 도쿄만 등 3대 베이 경제권을 넘어서는 첨단기술 허브를 꿈꾸고 있다.

 

홍콩을 중국의 일부로 재편하려는 것이 중국의 의도다. 반면에 홍콩인은 스스로를 독립적으로 생각한다. 홍콩은 홍콩인이 다스린다는 독립의식이 강하다.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홍콩의 비중은 1997년 18%에서 2018년 3%로 낮아졌다. 그러나 해외자금의 70%가 홍콩을 통해 유입된다. 글로벌 금융허브로서의 위상은 여전하다. 최근 홍콩증권거래소(HKEX)는 366억 달러(약 43조 7000억 원)에 런던증권거래소를 인수하겠다고 공식 제안했다. 작년 세계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1위에 올라섰다. 신규 상장기업 수도 125개나 된다. IPO 시장점유율은 17.6%에 달한다. 

중국의 군사개입 가능성은 높지 않다.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전선을 구축하는 것은 무리다. 미국과 비견되는 G2 국가에 올라섰다. 1989년 민주화 운동을 탄압한 톈안먼 사태로 엄청난 국가 이미지 손실을 입은 쓰라린 경험을 잊지 않고 있다. 홍콩 소재 글로벌 기업의 엑소더스가 일어나면 중국의 대국굴기 전략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인내하면서 상황이 변하기를 기다리는 전략을 구사할 확률이 높다. 

무엇보다도 중국 경제 상황이 녹녹치 않다. 리커창 총리는 최근 러시아 타스 통신 인터뷰에서 “중국 경제가 계속 6% 이상 성장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상반기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8.1% 감소했다. 8월 산업생산은 4.4% 줄어 2002년 이후 17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8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5.5%에 그쳐 연중 최저 수준이다. 2조 1500억 위안 인프라 투자, 2조 위안 감세 등 경제활성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6% 성장률 달성이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홍콩 사태 악화는 중국 경제에 치명적 외상을 안겨줄 수 있다. 중국 지도부가 섣불리 진압카드를 꺼낼 수 없는 이유다. 홍콩 사태가 시진핑 주석의 정치력을 테스트하고 있다.

 

 

박종구 초당대 총장

 

비밀번호 :
· 수정일자 : 2019-10-11